[골프타임즈=문민순 수필가] 매월 10일은 우리 장씨 집안 며느리들이 회합하는 날이다. 월 회비로 3만원을 걷어 그달 장소와 음식을 제공하는 사람에게 준다. 모임을 처음 시작할 때 회비로 3만원을 내면 음식을 사 먹어도 돈이 남아 가전제품 하나는 살 수 있어 선물로 주기도 했지만 이즈음은 밥 한 끼에 과일이나 떡 한 말 하고나면 그것만도 빠듯하다.
집안 모임은 지금 90세가 낼 모래인 장조카 형님에서부터 시작해 몇 대를 이은 젊은 새댁인 조카며느리들까지 모인다. 지금은 모임이 장씨 집안의 가풍이 되어서인지 사촌이든 육촌이든 모두가 친남매지간처럼 우애가 남다르다.
처음 결혼해 몇 년간은 생활이 불안정해 참석하지 못한 것을 빼고는 수십 년 동안 거의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참석해 동기간의 우애를 다졌다. 처음에는 만리동에서 한의원 하시는 큰댁에서 모이다가 나중에는 돌아가면서 집에서 음식을 차리거나 시켜 먹었다. 지금은 만리동에 있는 식당 한군데를 정해놓고 매달 그곳에서 모인다.
그 모임이 곧 우리집안의 소통의 자리이다. 사업 확장을 한다거나, 승진을 하거나, 새로운 애경사가 생기면 의논도 하고 궁금한 소식과 안부를 전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그 달의 히로인은 새로 들어온 며느리를 만나보는 일이다. 새로 가입한 회원이 되는 셈이다. 처음에 수줍어 말도 못하다가 몇 번 만나고 나면 금방 친해져 친구처럼 지내기도 한다. 영화 같고 드라마 같은 이야기로 꽃을 피우는 즐거움이 어찌나 재미있는지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수다를 떤다.
큰형님은 자신의 고향인 개성을 그리워하는 말씀을 자주하신다. 젊을 때는 시들하고 흥미 없게 들렸는데 지금은 흥미롭고 재미지게 들린다. 이 좁은 땅덩이에서도 음식도, 풍습도 다른 것을 보면 그야말로 박물관이 따로 없단 생각이 든다. 며느리 30명이 넘으니 팔도가 고향이다. 저마다 자라온 환경도 다르고 성품도 달라 다 함께 모이면 신기한 이야깃거리가 너무나도 많다. 특히나 큰형님께서는 개성에서 피난 나와 정착한 곳이 주로 서울 경기지역이라 낯선 외로움을 벗어나고 싶어 이 모임을 주선한 것인지도 모른다.
봄이 되어 한식 때면 임진각으로 봄나들이 가듯 다 같이 모여 차례 상을 차려놓고 북쪽을 바라보며 그곳에 남은 가족의 안녕과 평화를 기도해준다. 가끔 여름철에는 천막치고 물놀이도 하고 고기도 구워 먹어가며 살아가는 이야기도 하고 안주삼아 정치꾼들 이야기를 하며 술잔을 기울기도 한다. 겨울이면 2박3일의 코스 여행을 다니며 희희낙락 웃음꽃이 만발했다. 지금은 사는 것도 바쁘고 나이가 들다보니 겨우 몇 년에 한번 그닥 멀지 않은 곳으로 봄나들이를 가곤 한다.
한 세대가 끝나면 그 아래 자손들이 대를 잇는 것도 극히 자연스런 현상인 듯싶다. 며느리들 모임의 환경을 만들어 준 것도 어쩌면 집안의 화목은 남자들보다는 여자들에게서 나온다는 걸 알고 미리 짜놓은 며느리끼리의 퍼즐놀이가 아니었을까. 모임이 굳건히 형성되기까지 형님들의 노고가 컸던 것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90년대 어느 겨울이었다. 우리는 오색온천을 시작으로 2박3일의 강원도 여행길을 나섰다. 잘 논 것까지 좋았는데 일정대로 돌아오는 길에 심한 폭설을 만났다. 대절해 간 버스는 움직일 수도 없었고 대관령 휴게소까지는 거리가 멀어 꼼짝없이 길에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다. 동행한 남자들이 물이며 라면, 과자들을 날라다 주어 겨우겨우 추위와 배고픔을 달랠 수 있었다.
그때는 정말 환경이 취약해서 길에서 고립된 채, 여자들은 화장실도 못가서 끙끙 대다가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서야 어쩔 수 없이 버스 주변에 일을 보았다. 헬리콥터로 공수해주는 물과 과자를 받아먹으면서도 철없는 아이들처럼 뭐가 그리 좋은지 희희낙락거리느라 불편할 것도 무서울 것도 없었다. 아마도 든든한 남자들이 곁에 계시어 마음이 편했지 싶었다.
그때는 핸드폰도 없던 시절 이라, 눈길에 막혀 차안에서 밤을 밝힌 게 뉴스에 나오니 그게 무슨 개선장군이이 된 것처럼 으스대며 귀향했던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웃음이 절로 난다.
지금은 육촌이나 사촌이나 일가친척들을 만나려면 친인척의 애경사에서나 겨우 만나 볼 수 있다. 설혹 예식장이든 장례식장이든 만난다 하더라도 깊이 있는 이야기는 나눌 새도 없지만 왕래 또한 잦지 않으니 상통되고 공감되는 이야깃거리도 별반 없는 것 같다. 그만큼 사랑도, 인정도 애정도 각박해진 것이다. 비혼 족이 점점 증가하는 이즈음의 현실도 안타깝고 설혹 결혼한다 해도 무자식이 상팔자라 하듯 아예 아이를 안 났거나 하나만 낳는 이들도 적지 않으니 대가족의 풍속도는 물론 고모 이모 삼촌의 명칭이 사라져 가고 있음을 어이하랴.
장씨 집안의 며느리 모임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몰라도 대를 이어 가풍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
수필가 문민순은
한국수필로 등단. 한국수필가협회 이사. 한국수필작가회 이사이며 한국수필 제5회 독서문학상 대상 수상했다. 마침표가 아닌 쉼표, 4번선 없는 기타ㆍ사랑에는 향기(공저)외 다수